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기준과 계산법 알아보기

올해 6월 청년들의 5,000만원 목돈 마련을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었습니다. 가장 중요한 건 내가 얼마를 만기에 받을 수 있냐는 건데, 만기 금액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정부기여금입니다. 오늘은 정부기여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

정부기여금 지급 기준
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면 연령, 가구소득, 개인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 그 중 정부기여금을 지급 받으려면 개인소득이 총 급여액 기준 6,0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.

  •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6,000만원 이하: 정부기여금 지급 + (이자소득 비과세 적용)
  •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6,000 ~ 7,500만원: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만 적용

※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개인소득은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 기준입니다. 국세청에서 확정된 과세소득만 인정되며, 홈택스의 ‘소득확인증명서’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미충족 시 대처 방법

☞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확인
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
정부기여금 지급 한도

청년도약계좌는 적금상품으로 본인 납입액, 정부기여금,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, 이자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 여기서 매월 40~70만원 씩 납입하면 본인의 개인소득 수준과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아래와 같이 차등 지원됩니다.

개인소득
(총급여기준)
본인 납입한도(월)기여금 지급한도(월)기여금 매칭율기여금 한도(월)
2,400만 원 이하70만 원40만 원6.0%2.4만 원
3,600만 원 이하70만 원50만 원4.6%2.3만 원
4,800만 원 이하70만 원60만 원3.7%2.2만 원
6,000만 원 이하70만 원70만 원3.0%2.1만 원
7,500만 원 이하70만 원

위 표가 처음에는 조금 헷갈릴 수 있습니다.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드리겠습니다.



▶ 정부기여금 계산

핵심만 먼저 말씀드리면 위 매칭 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오히려 많은 기여금 지원이 가능하도록 소득구간 별로 차등을 두어 소득이 적을수록 오히려 더 두텁게 지원됩니다.

예를 들어, 개인 소득이 2,400만 원(총 급여 기준) 이하인 경우, 기여금 지급 한도인 최대 40만 원에 대해 기여금 매칭 비율이 6%로 적용되어, 최대 2.4만 원의 기여금을 매월 받을 수 있습니다.

이로써 본인 납입 한도(월 70만 원)를 초과하지 않아도 정부 기여금을 모두 받을 수 있도록 지급 한도가 설정된겁니다. 즉, 본인이 매월 40만원을 납입하던, 70만원을 납입하던 기여금은 매월 2.4만 원 동일하게 받습니다.

따라서 연 소득이 2,400만 원 이하이고 매월 70만 원의 납입이 부담스러운 경우, 정부가 지하는 최대 한도인 40만 원까지만 납입하는 것이 정부기여금을 지급받는 차원에서는 현명할 수 있습니다.

물론, 각 은행에서 제공하는 비과세 이자 수익도 추가됩니다.

☞ 청년도약계좌 은행 별 금리 확인